여기 잘 나와 있다 :
かな文字の入力
윈도우와 거의 같으나
작은 문자를 쓸 때 l 대신 x 를 쓴다는 것이 다르다.
즉 맥에서는 っ 타이핑이 ltu 가 아니라 xtu 임.
키워드 : Mac, japanese, 入力
검색어 : 구글 > 日本語 タイピング mac romaji
Friday, April 30, 2010
Tuesday, April 27, 2010
맥에서 가끔 Control 키가 lock 걸리는 현상
질문 : 가끔씩 Control 키가 항상 눌려 있는 것 같은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Control 키를 누르지 않았는데 눌려 있는 듯이 동작하는 상태)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
답 : 이럴 땐 Control 키를 한번 눌러주면 원래대로 돌아올 것이다. 이는 키보드 자체의 문제는 아니고 소프트웨어적인 문제 같다. Maya에서는 컨트롤 키를 눌러줘도 돌아오지 않는데 원인은 불명.
키워드 : ctrl, keyboard
답 : 이럴 땐 Control 키를 한번 눌러주면 원래대로 돌아올 것이다. 이는 키보드 자체의 문제는 아니고 소프트웨어적인 문제 같다. Maya에서는 컨트롤 키를 눌러줘도 돌아오지 않는데 원인은 불명.
키워드 : ctrl, keyboard
Saturday, April 17, 2010
Powerpoint에서 jpg으로 export할때 resolution
맥 버전의 파워포인트로 설명.
Powerpoint에서 jpg으로 export하는 것은
File > Save as Pictures...
하면 되고
export할때 resolution 은 Option 상자에서
직접 해상도를 정해주던가 dpi 를 정해주면 된다.
그런데 jpg 외의 다른 포맷 예를 들어 tif 포맷으로 export 하면
해상도를 컨트롤할 수가 없다.
Powerpoint에서 jpg으로 export하는 것은
File > Save as Pictures...
하면 되고
export할때 resolution 은 Option 상자에서
직접 해상도를 정해주던가 dpi 를 정해주면 된다.
그런데 jpg 외의 다른 포맷 예를 들어 tif 포맷으로 export 하면
해상도를 컨트롤할 수가 없다.
Sunday, April 11, 2010
Numbers 에서 첫 row 를 항상 보이게 하는 방법
위쪽 아이콘 맨 오른쪽에 보면 sheet 의 row 가 표시된 아이콘이 있는데
아래 화살표를 클릭하면 Freeze Header Rows 라는 항목이 있는데 거기 체크하면 된다.
아래 화살표를 클릭하면 Freeze Header Rows 라는 항목이 있는데 거기 체크하면 된다.
Saturday, April 10, 2010
Magic Mouse 와 같은 2 button mouse에서 Maya 사용하는 법
질문 : Magic Mouse 와 같은 2 button mouse에서 Maya 사용하는 법?
답 :
Window > Settings/Preferences > Preferences
에서
Interface 에 가서 맨 밑에 보면
Devices 에 2 button mouse 선택 가능함.
이 세팅을 쓰면
Pan : Option + Command + left click and drag
Rotate : Option + left click and drag
Zoom : 그냥 drag 또는 Option + right click and drag
로 컨트롤하면 된다.
인용 :
Depending on your Maya settings(Window->Settings->Preferences, I usually set my settings to a 2 button mouse)... then option + drag to rotate, option + two-finger drag to zoom, and option + command + one finger drag for pan.
Of course a mouse works best and don't forget to change back to a three button mouse in the Preferences.
출처 : Maya 8.5 macbook pro pan
답 :
Window > Settings/Preferences > Preferences
에서
Interface 에 가서 맨 밑에 보면
Devices 에 2 button mouse 선택 가능함.
이 세팅을 쓰면
Pan : Option + Command + left click and drag
Rotate : Option + left click and drag
Zoom : 그냥 drag 또는 Option + right click and drag
로 컨트롤하면 된다.
인용 :
Depending on your Maya settings(Window->Settings->Preferences, I usually set my settings to a 2 button mouse)... then option + drag to rotate, option + two-finger drag to zoom, and option + command + one finger drag for pan.
Of course a mouse works best and don't forget to change back to a three button mouse in the Preferences.
출처 : Maya 8.5 macbook pro pan
Friday, April 9, 2010
달력 간편하게 만드는 법
cal 명령을 쓰면 된다.
달을 지정하려면, 예를 들어 지금이 4월인데 5월 달력을 찍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한다.
cal -m may
키워드 : calendar
달을 지정하려면, 예를 들어 지금이 4월인데 5월 달력을 찍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한다.
cal -m may
키워드 : calendar
Saturday, April 3, 2010
UNIX Shell script 한줄로 쓰는 방법
질문 : AppleScript 내에서 셸 스크립트를 여러 줄을 한줄로 써야할 경우가 있는데 어떻게 하면 좋은가?
답 : 다음과 같이 ; 로 분리하면 된다.
do shell script "F=\"file.name.txt\";EXT=`echo ${F##*.}`;echo $EXT"
답 : 다음과 같이 ; 로 분리하면 된다.
do shell script "F=\"file.name.txt\";EXT=`echo ${F##*.}`;echo $EXT"
Friday, April 2, 2010
맥에 외장하드를 꽂았는데 외장하드가 안보이는 경우 해결법
질문 : 맥에 외장하드를 꽂았는데 외장하드가 안보이는 경우 어떻게 하나?
답 : 간혹 그런 문제가 발생할 때가 있는데 그럴 땐
파인더에서 Command + Shift + g 를 누르고 거기에
/Volumes
를 입력하고 엔터.
그렇게 하면 외장하드가 인식되어 보일 것이다.
답 : 간혹 그런 문제가 발생할 때가 있는데 그럴 땐
파인더에서 Command + Shift + g 를 누르고 거기에
/Volumes
를 입력하고 엔터.
그렇게 하면 외장하드가 인식되어 보일 것이다.
Thursday, April 1, 2010
아래아 한글 Crash Course
Hwp 벼락치기로 익히기
요즘은 hwp를 잘 쓰지 않지만, 관공서 등에서 받은 문서파일은 hwp 파일로 되어 있어서 다루는데 애를 먹곤 한다. 여기서는 간단히 실전에 필요한 기능만 요약해본다.
문서 확대/축소 (줌인/줌아웃)
Ctrl + 마우스 휠
새 페이지 만들기
Ctrl + Enter 하면 됨
표 만드는 방법
메뉴 > 표 > 표 만들기
또는 아이콘을 누르면 됨
표를 좀더 쉽게 만드는 방법
Hwp의 훌륭한 기능 중의 하나가, 표 그리기 기능이다.
즉 원하는 레이아웃으로 선을 그으면 자유롭게 원하는 형태의 표를 만들 수 있다.
표의 특정 라인을 지우고 싶으면
표 그리기/지우기 모드에서 빠져나가려면, 그냥 ESC 를 누르면 된다.
표에 행을 추가하는 법
표 셀 안쪽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Ctrl + Enter 하면 됨
커서가 안에 있는 상태에서 셀 선택하기
F5 를 누르면 됨. 한번 누르면 회색, 두번 누르면 빨간색, 세번 누르면 전체 셀이 빨간색이 되어 선택됨
셀 선택한 상태에서 에디트 모드로 가기
Enter 키 누르면 됨
셀의 크기 변경하는 법
워드와 마찬가지로, 그냥 선을 드래그하면 된다.
표의 라인 서식 변경하는 법
표를 만들고 표 가장자리의 서식을 점선 등으로 바꾸는 법을 알아보자.
1. 원하는 셀들을 선택한 후,
2. 선택된 상태에서 L을 누름
3. 그러면 셀 테두리 서식을 변경할 수 있는 창이 뜨는데
4. 여기서 테두리 유형을 선택하고
5. 그 유형을 적용할 라인을 선택하고 '적용'을 누르면 된다.
6. '설정'을 누르면 빠져나갈 수 있다.
표의 셀 색깔 바꾸는 법
L 누르고 배경 탭 누르면 여기서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그냥 C 를 누르면 된다.
표의 속성 단축키
표의 라인 속성은 L
표의 배경 속성은 C
셀 합치기
여러 셀들을 선택하고
오른버튼 누르고 셀 합치기 메뉴를 실행하거나
M 키를 치면 합쳐진다.
셀 나누기
한 셀을 선택하고
오른버튼 누르고 셀 나누기 메뉴를 실행하거나
S 키를 누르면 나눠진다.
그림 삽입하기
입력 > 개체 > 그림
그립/표 등의 개체를 글자 다루듯 쉽게 위치시키려면
오른버튼 > 개체 속성 > "글자처럼 취급"에 체크
글자 속성 핫키
Alt + L
머리말, 꼬리말 넣기
메뉴 > 모양 > 머리말/꼬리말
해서 넣으면 여기에 문서 제목 또는 페이지 수를 자동으로 넣을 수 있게 됨
페이지 아래쪽에 주석 넣기
입력 > 주석 > 각주
(지우려면 주석 도구상자에서 오른쪽에서 두번째의 지우개 클릭)
쪽수 넣기
메뉴 > 모양 > 쪽 번호 매기기
레퍼런스 :
아래아 한글 단축키
키워드 : 테이블, 핫키, "아래아한글 단축키 shortcuts hotkeys.jpg"
요즘은 hwp를 잘 쓰지 않지만, 관공서 등에서 받은 문서파일은 hwp 파일로 되어 있어서 다루는데 애를 먹곤 한다. 여기서는 간단히 실전에 필요한 기능만 요약해본다.
문서 확대/축소 (줌인/줌아웃)
Ctrl + 마우스 휠
새 페이지 만들기
Ctrl + Enter 하면 됨
표 만드는 방법
메뉴 > 표 > 표 만들기
또는 아이콘을 누르면 됨
표를 좀더 쉽게 만드는 방법
Hwp의 훌륭한 기능 중의 하나가, 표 그리기 기능이다.
메뉴 > 표 > 표 그리기
를 선택하면 커서가 연필 모양이 되면서 자유자재로 표를 그릴 수 있는 모드가 된다.즉 원하는 레이아웃으로 선을 그으면 자유롭게 원하는 형태의 표를 만들 수 있다.
표의 특정 라인을 지우고 싶으면
메뉴 > 표 > 표 지우기
를 선택하여, 지우고 싶은 라인 위로 지우개를 드래그하면 된다.표 그리기/지우기 모드에서 빠져나가려면, 그냥 ESC 를 누르면 된다.
표에 행을 추가하는 법
표 셀 안쪽에 커서가 있는 상태에서 Ctrl + Enter 하면 됨
커서가 안에 있는 상태에서 셀 선택하기
F5 를 누르면 됨. 한번 누르면 회색, 두번 누르면 빨간색, 세번 누르면 전체 셀이 빨간색이 되어 선택됨
셀 선택한 상태에서 에디트 모드로 가기
Enter 키 누르면 됨
셀의 크기 변경하는 법
워드와 마찬가지로, 그냥 선을 드래그하면 된다.
표의 라인 서식 변경하는 법
표를 만들고 표 가장자리의 서식을 점선 등으로 바꾸는 법을 알아보자.
1. 원하는 셀들을 선택한 후,
2. 선택된 상태에서 L을 누름
3. 그러면 셀 테두리 서식을 변경할 수 있는 창이 뜨는데
4. 여기서 테두리 유형을 선택하고
5. 그 유형을 적용할 라인을 선택하고 '적용'을 누르면 된다.
6. '설정'을 누르면 빠져나갈 수 있다.
표의 셀 색깔 바꾸는 법
L 누르고 배경 탭 누르면 여기서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그냥 C 를 누르면 된다.
표의 속성 단축키
표의 라인 속성은 L
표의 배경 속성은 C
셀 합치기
여러 셀들을 선택하고
오른버튼 누르고 셀 합치기 메뉴를 실행하거나
M 키를 치면 합쳐진다.
셀 나누기
한 셀을 선택하고
오른버튼 누르고 셀 나누기 메뉴를 실행하거나
S 키를 누르면 나눠진다.
그림 삽입하기
입력 > 개체 > 그림
그립/표 등의 개체를 글자 다루듯 쉽게 위치시키려면
오른버튼 > 개체 속성 > "글자처럼 취급"에 체크
글자 속성 핫키
Alt + L
머리말, 꼬리말 넣기
메뉴 > 모양 > 머리말/꼬리말
해서 넣으면 여기에 문서 제목 또는 페이지 수를 자동으로 넣을 수 있게 됨
페이지 아래쪽에 주석 넣기
입력 > 주석 > 각주
(지우려면 주석 도구상자에서 오른쪽에서 두번째의 지우개 클릭)
쪽수 넣기
메뉴 > 모양 > 쪽 번호 매기기
레퍼런스 :
아래아 한글 단축키
키워드 : 테이블, 핫키, "아래아한글 단축키 shortcuts hotkeys.jpg"
BOM값이 틀린 파일 확인법
인코딩 자체는 문제가 없는데 BOM(Byte order mark)이 인코딩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기면 BOM이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1. text 파일의 경우
TextEdit 에서 열면 깨져보이는데
TextWrangler 에서 열면 제대로 보이는 파일은
BOM 이 잘못된 파일이다.
2. html 파일의 경우
Safari 에서 열면 깨져보이는데
FireFox 에서 열면 제대로 보이는 파일은
BOM 이 잘못된 파일이다.
키워드 : unicode, utf-8, 유니코드, Byte order mark
1. text 파일의 경우
TextEdit 에서 열면 깨져보이는데
TextWrangler 에서 열면 제대로 보이는 파일은
BOM 이 잘못된 파일이다.
2. html 파일의 경우
Safari 에서 열면 깨져보이는데
FireFox 에서 열면 제대로 보이는 파일은
BOM 이 잘못된 파일이다.
키워드 : unicode, utf-8, 유니코드, Byte order mark
유니코드로 변환시 BOM 값의 중요성
어떤 텍스트 파일이 UTF-8인지 등을 알아내려면 첫 세 바이트의
BOM (Byte Order Mark) 를 확인하면 알 수 있는데,
EUC-KR encoding 된 것을 UNIX의 iconv를 이용해 UTF-8 로 변환할 경우,
텍스트 파일 초반의 BOM 값까지 자동으로 써지지는 않는다.
iconv 만으로 convert 한 파일은 맥파인더의 space 바를 눌러 보는
프리뷰에서는 깨져 보이는데 그것은 BOM 값이 틀려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OM은 알아서 별도로 써줘야 한다.
다음은 UTF-8 의 BOM 값이다.
set BOM to ((ASCII character 239) & (ASCII character 187) & (ASCII character 191))
참고자료 : 유니코드 사용시 No BOM 이란
BOM (Byte Order Mark) 를 확인하면 알 수 있는데,
EUC-KR encoding 된 것을 UNIX의 iconv를 이용해 UTF-8 로 변환할 경우,
텍스트 파일 초반의 BOM 값까지 자동으로 써지지는 않는다.
iconv 만으로 convert 한 파일은 맥파인더의 space 바를 눌러 보는
프리뷰에서는 깨져 보이는데 그것은 BOM 값이 틀려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OM은 알아서 별도로 써줘야 한다.
다음은 UTF-8 의 BOM 값이다.
set BOM to ((ASCII character 239) & (ASCII character 187) & (ASCII character 191))
참고자료 : 유니코드 사용시 No BOM 이란
UNIX Shell에서 filename parse하기(filename only, extension 등 알아내기)
F="/Users/My Work/thisfile.txt"
dirname
DIRNAME=`dirname "$F"`
echo $DIRNAME
filename
FILENAME=`basename "$F"`
filenameOnly
FILENAME_ONLY=`basename "$FILENAME" .txt`
echo $FILENAME_ONLY
결과 : thisfile
extension
EXT=`echo ${F##*.}`
echo $EXT
결과 : txt
주의 :
간혹 어떤 레퍼런스에서는 파일 확장자를 얻어내는 명령을
EXT=`echo ${F#*.}`
라고 쓴 경우가 있는데 이건 잘못된 것이다.이렇게 하면
"file.name.txt" 같은 파일의 확장자가 name.txt 로 얻어져 버린다.
키워드 : 확장자, 디렉토리명, 파일명, 폴더명
레퍼런스 :
Short Tip: Get file extension in Shell script
-> 매우 다양한 방법이 나와 있음. UNIX Shell로 파일명 다루는데 좋은 참고자료.
dirname
DIRNAME=`dirname "$F"`
echo $DIRNAME
filename
FILENAME=`basename "$F"`
filenameOnly
FILENAME_ONLY=`basename "$FILENAME" .txt`
echo $FILENAME_ONLY
결과 : thisfile
extension
EXT=`echo ${F##*.}`
echo $EXT
결과 : txt
주의 :
간혹 어떤 레퍼런스에서는 파일 확장자를 얻어내는 명령을
EXT=`echo ${F#*.}`
라고 쓴 경우가 있는데 이건 잘못된 것이다.이렇게 하면
"file.name.txt" 같은 파일의 확장자가 name.txt 로 얻어져 버린다.
키워드 : 확장자, 디렉토리명, 파일명, 폴더명
레퍼런스 :
Short Tip: Get file extension in Shell script
-> 매우 다양한 방법이 나와 있음. UNIX Shell로 파일명 다루는데 좋은 참고자료.